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오징어 게임’·’기생충’ “영어권에서 비영어권 콘텐츠 소비 주도”

맥스무비 조회수  

올해 말 공개될 예정인 '오징어 게임' 시즌2의 한 장면. 사진제공=넷플릭스
올해 말 공개될 예정인 ‘오징어 게임’ 시즌2의 한 장면. 사진제공=넷플릭스

글로벌 히트작 ‘오징어 게임’과 ‘기생충’이 대표하는 한국 작품이 영어권 시장에서 비영어권 콘텐츠 수요를 주도했다는 통계치가 나와 눈길을 끈다. 

올해 말 ‘오징어 게임’의 시즌2가 공개될 예정이어서 이 같은 흐름을 또 한 번 주도할지 관심을 모은다.

31일 미국 인디와이어와 데드라인, 영국 스크린데일리 등 주요 외신들은 미국 미디어 전문 시장조사기관 암페어 애널리시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이 같이 보도했다.

암페어 애널리시스는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주요 영어권 국가 18~64세 성인 1만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비영어권 영화와 TV프로그램 정기 시청 비율이 24% 늘어났다”고 밝혔다. 

또 이 가운데 54%가 영어가 아닌 언어권의 콘텐츠를 “매우 자주” 또는 “가끔”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이후 43%가 늘어난 수치라고 암페어 애널리시스는 전했다.

특히 이 같은 흐름의 주요 동인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과 영화 ‘기생충’으로, 한국 콘텐츠가 그 주요 동인이라고 분석했다.

암페어 애널리시스는 “한국 TV프로그램과 영화는 지난 4년 동안 영어권 시장에서 시청 빈도가 35% 증가했다”면서 이 같이 보고했다.

2021년 9월17일 공개된 ‘오징어 게임’은 이후 28일간 16억5045만 시간의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넷플릭스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전 세계적 인기를 모았다. 

이어 넷플릭스가 올해 성탄절을 전후해 시즌2를 공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찌감치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은 2019년 칸 국제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뒤 이듬해 미국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 등을 거머쥐면서 세계적 관심 속에 흥행했다. ‘기생충’은 비영어권 작품으로는 첫 아카데미 작품상을 거머쥐면서 더욱 큰 시선을 모았다.

암페어 애널리시스의 애나벨 요먼스 리서치 매니저는 “영어권 시장에서 비영어권 콘텐츠 시청률이 증가한 것은 제작자의 지역이 다양해지면서 시청자도 시청 습관을 바꾸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맥스무비
CP-2023-0089@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맥스 스타] 랭킹 뉴스

  • "안고 싶다" "앉고 싶다"...고윤정·정준원 고백의 진실은?
  • 청불영화 '야당' 300만 간다, 그 비결은?
  • 배우 김선호와 팬덤 선호하다의 '선한 영향력'...주목받는 이유
  • '귀궁' '언슬전' '천국보다 아름다운' 2막 돌입..주도권 대결
  • 톰 크루즈 '미션 임파서블' 지속 여부, 결국 이번 흥행에 달렸나
  • 주말 극장서 뭘 볼까, 동화적인 사랑 '바이러스' VS '아멜리에'

[맥스 스타] 인기 뉴스

  • "안고 싶다" "앉고 싶다"...고윤정·정준원 고백의 진실은?
  • 청불영화 '야당' 300만 간다, 그 비결은?
  • 배우 김선호와 팬덤 선호하다의 '선한 영향력'...주목받는 이유
  • '귀궁' '언슬전' '천국보다 아름다운' 2막 돌입..주도권 대결
  • 톰 크루즈 '미션 임파서블' 지속 여부, 결국 이번 흥행에 달렸나
  • 주말 극장서 뭘 볼까, 동화적인 사랑 '바이러스' VS '아멜리에'

[맥스 스타] 추천 뉴스

  • '소주전쟁' VS '하이파이브' 격돌 못 피한다
  • [오늘 뭘 볼까] 사제 이전 사람으로서...영화 '두 교황'
  • [맥스포토] 헤일리 앳웰·폼 클레멘티에프, 화끈한 레드카펫 드레스 대결
  • [맥스포토] 사이먼 페그·그레그 타잔 데이비스, 팬들에게 볼하트 애교
  • 감독과 크레딧 분쟁 중인 '소주전쟁' 개봉일 앞당긴다
  • '약한영웅' '당신의 맛' '꿀알바'..크리에이터 한준희 감독의 '이상한' 세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