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 박신양이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의 포스터에 참여해 올해 영화제의 지향을 상징적으로 알리는 작업을 함께 했다.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영상 및 영화 작업에 속도를 내는 전문가들과 손잡은 의미 있는 협업을 통해 시대와 호흡하는 영화제의 기치를 알린다.
박신양은 올해로 29회째인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집행위원장 신철)의 포스터의 디자인 등 작업을 맡았다. 권한슬 감독이 이끄는 AI 영상 제작 전문인 스튜디오 프리윌루전과 손잡은 박신양은 순수 예술과 AI 기술을 융합한 메인 포스터에 이어 다양성 포용을 내건 영화제를 설명하는 서브 포스터들도 선보였다. 배우가 아닌 화가 박신양으로 주도한 이색적인 작업의 결과물이다.
최근 화가로 활발히 활동 중인 박신양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측으로부터 협업 제안을 받고 창의력을 자극하는 새로운 작업에 의욕적으로 참여했다. 그동안 당나귀를 상징으로 활용하면서 다채로운 작품 활동을 해온 박신양은 이번 영화제의 포스터들에도 그 상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앞으로 나아가는 당나귀의 모습이 담긴 메인 포스터는 순수예술과 AI 기술의 융합을 통해 얼핏 모순돼 보이지만 이미 벌어지고 있는 역동적인 창작의 세계와 그 경계 너머의 세계까지 표현한다. 추가로 공개한 서브 포스터는 순수예술과 AI의 만남으로 더욱 다채로운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다는 영화제의 목소리를 담았다.
박신양은 “당나귀는 저의 독특한 분신이지만 우리 모두를 대변한다”며 “이것이 예술의 아름다움이자 존재 의미”라고 밝혔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는 “서브 포스터는 박신양 작가의 ‘당나귀 13’을 기반으로 스튜디오 프리윌루전이 AI 기술을 통해 원작의 상징성과 내러티브를 새롭개 해석해 시공간을 확장한 결과물”이라며 “포스터 중앙에 자리한 ‘당나귀 13’은 예술가를 상징하고 이를 둘러싼 사각의 프레임은 AI의 인스팩더(Expander) 기능으로 원작이 품은 상상의 경계를 밖으로 펼쳐내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포스터에도 삽입된 ‘인스팬더’ 기능은 영상 제작에서 주로 활용되는 AI 기술이다. 기존의 이미지나 영상의 경계를 확장하면서 프레임 너머의 공간을 창조하는 역할을 한다. 지난해부터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국내 영화제로는 처음으로 AI 경쟁 부문을 신설하는 등 급변하는 영상 혁명에 맞춰 AI 기술을 접목한 영화에 주목한 시도가 이번 포스터를 통해 또 한번 강렬하게 표현된 셈이다.
올해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는 기존의 틀을 넘어 영화와 전시, 게임 등 다양한 예술과 기술의 결합을 시도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주력한다. 영화제에만 머물지 않고 엔터테인먼트 기술을 선도하는 ‘엔터 AI 테크의 중심’을 목표로 한층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객을 맞는다. 영화제는 오는 7월3일 개막해 13일까지 부천시 일대에서 열린다.

댓글0